안면신경마비① 이마주름으로 뇌졸중 여부를 알 수 있다
안면신경마비① 이마주름으로 뇌졸중 여부를 알 수 있다
  • 이연우 기자
  • 기사입력 2019.08.28 09:00
  • 최종수정 2019.08.27 1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추성·말초성의 차이

[헬스컨슈머] 어느 날, 당신이 거울을 보는데 한쪽 입 주위와 이마근육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고 마비되었다면 무슨 생각이 들까? 아마 당신은 갑작스럽게 찾아온 안면마비를 보며 뇌졸중인가 싶어 걱정이 이만저만 아닐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러한 안면마비는 뇌졸중으로 오는 안면마비와 다르게 대부분 저절로 좋아진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위의 상황과 뇌졸중으로 오는 안면마비는 어떤 점이 다른 것일까?


[얼굴이 굳는다고, 다 똑같은 안면신경마비가 아니다]

-안면신경마비의 구분은 이마주름

먼저 안면신경마비는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말초성 안면신경마비로 구분할 수 있다.

사진제공: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사진제공: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전자는 뇌졸중이나 기타중추신경계 이상으로 한쪽 입 주변의 근육이 마비된다. 후자는 바이러스 감염이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한쪽 입 주변과 이마근육이 마비된 형태를 보인다. 보편적으로 둘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있느냐의 차이다.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는 이마에 주름을 만들 수 있는 반면, 말초성은 안면신경마비는 이마에 정상적인 주름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소식을 들은 사람들은 왜 중추성만 이마에 주름을 만들 수 있지?’라고 궁금할 것이다. 이와 같은 차이는 무엇 때문일까?

우리의 뇌는 인체의 모든 근육을 지배하고 있다. 얼굴근육도 마찬가지이며, 오른쪽 얼굴은 좌뇌가, 왼쪽 얼굴은 우뇌가 근육을 관리하고 있다.

A.B.안면신경의 핵 C.얼굴의 근육

얼굴근육을 지배하는 뇌신경이 뇌에서 갈라져 나오기 전까지를 중추성 안면신경통로라고 부른다. ,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는 뇌에 문제가 발생하여 AB에도 이상이 나타난 것이다.

또한 뇌에서 갈라져 나와 직접 얼굴근육에 연결되는 부분(BC)말초성 안면신경통로라고 한다. 이 통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이다. 쉽게 말해서 중추성은 신경이 뇌에서 갈라져 나오기 전, 말초성은 뇌에서 갈라진 이후의 문제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중추성과 말초성의 이마주름이 구분되는 이유는 이 경로의 차이에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얼굴은 좌뇌가 지배하지만 우뇌에서도 신경가지를 보내준다. 다만, 다른 쪽 뇌가 전달하는 신경은 눈 아래 근육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를 앓고 있는 사람은, AB의 문제로 한쪽 얼굴이 마비되지만, 이마신경은 반대편 뇌의 영향으로 문제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뇌졸중 환자들은 한쪽 입 주변만 마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말초성은 신경이 이미 뇌를 지나 안면신경의 핵에 도달한 상태이다. 그 후로 손상이 발생한 것이니, 반대편 뇌에서 신경을 전달한다 해도 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말초성은 반대편 뇌의 영향을 받지 못하고 이마까지 마비가 발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중추성 안면신경마비와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처럼 중추성과 말초성을 구분하는 방법은 이마주름에 있었다. 다만,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은 전문가를 통해 받아보는 것이 좋겠다. 다음 기사에서는 특별한 질환이 없어도 발생할 수 있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