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장치료, 지금 하지 않으면 장폐색 올 수 있어
탈장치료, 지금 하지 않으면 장폐색 올 수 있어
  • 강지명 기자
  • 기사입력 2020.01.16 15:00
  • 최종수정 2020.01.16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컨슈머]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오래 서 있는 일이 많거나, 격렬한 운동을 할 때 갑자기 사타구니 한쪽이 불룩 튀어나오거나 작은 공 크기의 혹이 만져지는 경우가 있는가? 손으로 누르거나 누워서 휴식을 하면 잠시 사라지지만 활동을 재개하면 다시 튀어나오는지? 그렇다면 병원을 방문해보는 것이 좋다, 바로 ‘탈장’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탈장은 문자 그대로,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일부가 다른 위치로 빠져나오는 증상이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대부분은 복벽에서 발생 … 소아는 체질, 성인은 노화와 과도한 복압 상승이 주요 원인]

탈장은 신체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복벽(배 안 앞쪽의 벽)에 발생한다. 근막과 복벽이 약해져 구멍이 나면서 그 틈으로 장이 밀려 나오는 것인데, 가장 흔한 형태가 사타구니 부위에 생기는 서혜부 탈장이다. 대부분 소아의 경우 선천적으로 복벽의 틈새를 갖고 태어난 경우에 발생하며, 성인에서는 노화로 복벽이 약해지고 과도한 복압 상승이 동반될 경우 발생한다. 그 외에 대퇴와 아랫배가 만나는 부위에 생기는 대퇴 탈장, 수술 상처 부위에 생기는 반흔 탈장, 배꼽 부위의 약해진 부분을 통해 발생하는 제대 탈장 등이 있다.

 

[자가진단도 가능 … 손으로 탈장 부위 느낄 수 있어]

물론 설명 자체가 무시무시하다보니 통증 역시도 극심하게 발생할 것이라고 많이들 생각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유성선병원 외과 최병민 전문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탈장 초기에는 알아보기 힘들 정도의 작은 돌출이 느껴지고, 탈장 부위에 묵직한 느낌이 드는 것 외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 그러나 증상이 점차적으로 진행되면 약해진 복벽 내부 내용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덩어리의 크기도 커진다.

심지어 육안으로 튀어나온 탈장 부위를 볼 수 있어서 자가 진단도 가능해질 정도다. 초기에는 손으로 누르거나 누우면 해당 부위가 다시 들어간다. 그러나 별다른 조치 없이 그대로 내버려두면 악화되기 마련이다. 점차 장 부위를 눌러도 잘 들어가지 않으며 돌출 부위에 압통, 복통, 구토, 발열 등의 장폐색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빠져나온 장이 꼬이거나 피가 통하지 않아 괴사가 진행되고 있으면 잘라내야 하기 때문에, 증상이 느껴진다면 되도록 빨리 병원을 찾자.

보편적 진단은 촉감을 이용한 ‘촉진’

탈장이 비록 자가진단이 어느 정도 가능한 질환이긴 하나, 가장 보편적인 검사는 전문의의 신체 촉진이다. 대부분은 진료실에서 현재 상태에 대한 질문과 신체 촉진만으로도 진단할 수 있다. 부드럽고 둥근 표면을 가진 덩어리가 튀어나온 것을 손가락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장에서 이질적인 소리가 나기도 한다. 보조적으로 초음파 검사나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진행해 최종적인 확인을 거칠 때도 있다.

 

[탈장 증상의 처치는?]

만약에 본인이 탈장 상태라면, 우선 탈장 부위를 원래 위치로 복원해야 한다. 손으로 탈장 부위를 부드럽게 주물러 주거나 탈장낭을 살짝 당긴 후 내용물을 밀어 넣어주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때 환자가 통증으로 인해 힘을 주면 복압이 상승해 장기가 자꾸 밀려나오게 되므로 약물로 통증을 충분히 조절한 후 시행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강한 통증이 있는 경우와 같은 응급상황이라면, 오히려 환자 본인의 조치가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는 지체하지 말고 병원으로 향해야 한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탈장이면 수술이 필요할까?]

탈장은 장기의 구조적인 문제다. 복원이 되더라도 곧 재발하고, 약물로는 완치되지 않는다. 그래서 근본적인 방법은 결국 수술로, 구멍 난 복벽 부위를 묶거나 막아주고 장을 원래 위치에 되돌려 놓아야 한다.

개복 수술, 복강경 수술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더 많다. 복강경 수술의 경우, 작은 구멍을 틈타 수술 기구를 탈장 부위까지 접근시킨 뒤 화면을 보며 수술한다. 수술 후 통증이 적어 회복이 빠르고 수월하며, 외관상 상처도 작다.

 

[복압과 밀접한 연관성, 적절한 체중 유지, 규칙적 운동 필요]

탈장은 복압과 관련이 많으므로 나이와 키에 맞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며 변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걷기, 요가, 스트레칭 등 운동을 규칙적으로 시행해 복근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팔과 다리 근육을 이용해 복부에 압력이 덜 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