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희 교수의 음식 교양 이야기(녹두) 37
홍익희 교수의 음식 교양 이야기(녹두) 37
  • 홍익희(세종대 대우교수, <유대인 이야기>,<세 종교 이야기> 저자)
  • 기사입력 2020.04.07 15:00
  • 최종수정 2020.04.07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민중의 상징 녹두와 빈자들의 먹거리 빈대떡

[헬스컨슈머]“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지”라는 후렴구로 유명한 ‘빈대떡 신사’라는 노래가 있다. 이렇듯 빈대떡, 즉 녹두부침개는 대표적인 서민음식이다. 옛날에도 그랬다, 녹두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음식들이었다.

 

[빈농들의 작물, 녹두]

예로부터 손이 많이 가는 녹두는 가난한 농부들이 많이 심었던 작물이다. 춘궁기 보릿고개를 무사히 넘기는 것도 중요했지만, 보리수확 뒤 쌀 추수 때까지 버티는 것도 가난한 농부들 입장에서는 큰 문제였다.

다행히 녹두는 메마른 땅에서 비료 없이도 잘 자란다. 그래서 자기 땅이 없는 소작농들이 산비탈이나 논밭 가장자리나 모퉁이를 이용해 키울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다른 콩에 비해 생육기간이 짧아 빨리 먹을 수 있었다. 게다가 녹두는 보리수확 뒤 곧장 씨를 뿌릴 수 있어 간작은 물론 다른 작물과 혼작도 가능했다.

하지만 이런 녹두에도 굉장한 단점이 있으니, 바로 다른 콩들과 달리 일시 수확이 어려웠다는 점이다. 녹두가 익으면 꼬투리가 벌어져 콩들이 튕겨나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줄기별로 익는 대로 나누어 수확해야 했고, 심지어 햇볕에 말려 일일이 손으로 까야 했다.

이처럼 일손이 많이 가다 보니 논마지기 깨나 있다는 농민들은 녹두재배를 꺼렸다. 그렇다 보니 녹두재배는 가난한 소작농들의 몫이었다. 녹두는 빈민들을 위한 구황작물 역할도 톡톡히 해냈다. 겨울까지 몇 번이고 수확할 수 있어 산에서 캐낸 칡가루와 섞어 면도 만들어 먹고, 당면 재료로도 쓰였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민중의 상징, 녹두/ 동학농민혁명을 이끈 녹두장군 전봉준]

"새야 새야 파랑새야 / 녹두밭에 앉지 마라 / 녹두 꽃이 떨어지면 / 청포장수 울고 간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는 1894년 낡은 봉건제도를 개혁하고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만민평등세상을 추구하며 일제 침략에 맞섰던 동학농민혁명을 대변하는 노래이다. 동학혁명을 주도한 전봉준은 녹두장군(綠豆將軍)으로 불렸는데, 키가 작아 붙여진 별명이다.

이 노래에서 '녹두밭'은 동학농민군을 의미하며, '파랑새'는 푸른색의 군복을 입은 관군과 일본군을, 녹두꽃은 녹두장군 전봉준을 말하며, '청포장수'는 백성을 의미한다.

이처럼 녹두는 많은 면에서 우리 민초들을 상징하는 작물이었다.

 

[녹두의 뛰어난 해독 작용]

오래 전부터 녹두는 해독에 뛰어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두가 해독 음식으로서 주목받은 것은 수백 년 전부터로,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녹두는 일체의 독과 주독(酒毒)을 해독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인 번열과 피부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적혀 있다. 또 “열을 내리고 종기를 가라앉히며 갈증을 그치게 하며 오장(五臟)을 조화롭게 하여 정신을 편안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녹두의 해독작용이 워낙 뛰어나다 보니 한방에서는 일부 질환의 처방 시에 녹두 음식을 금하기도 한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무르기 쉬운, 숙주]

녹두를 물에 담가 키우면 콩나물과 비슷하나 좀 더 가늘고 짧은 녹두 줄거리가 된다. 숙주도 녹두와 마찬가지로 해독 작용이 뛰어나며, 숙취 해소에 좋다.

녹두 줄거리는 무쳐 놓으면 맛은 있으나 금방 흐물흐물해지며 쉽게 쉬어버리는 단점이 있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녹두 줄거리가 단종을 버리고 변절한 절개를 지키지 않은 세조의 신하 신숙주와 닮았다하여 이를 ‘숙주’라고 이름 지어 불렀다고 한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녹두부침개, 빈대떡]

앞서 말한 빈대떡 유래에 대한 몇 가지 설이 있는데 그중 유력한 것이 빈자들의 떡 곧 ‘빈자떡’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다.

조선시대에 흉년이 들면 거지들이 많이 생겨났다. 그러면 세도가들이 녹두부침개 곧 빈자떡(貧者떡)을 만들어 거지들에게 “어느 댁의 적선이오.”하면서 나누어주었다고 한다. 그 뒤 ‘손님을 대접하는 떡’이라 하여 빈대떡(賓-손님+待-대접하다+떡)으로 바꿔 불렀다고 한다.

녹두만 있으면 만들 수 있는 게 녹두부침개다. 녹두를 물에 불려 껍질을 벗겨낸 뒤 이를 갈아 여기에 녹두를 싹 틔운 숙주나물을 넣고 돼지기름에 지져 부침개를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참으로 서민들에게 친절한 음식이 아닐 수 없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