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만성질환관리 정책 내 “이상지질혈증 패싱” 심각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만성질환관리 정책 내 “이상지질혈증 패싱” 심각
  • 신홍성 기자
  • 기사입력 2021.07.13 17:19
  • 최종수정 2021.07.13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상지질혈증, 법정관리 질환 지정에도 불구하고 고혈압·당뇨병 대비 정부 정책 공백 많아

- 학회, “이상지질혈증 단독 진단 환자들도 만성질환 체계적 관리 해야”

[헬스컨슈머]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이사장 최동훈, 연세의대)가 신현영 국회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과 공동 주최한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40% 시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공백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주제의 전문가 정책 간담회가 7월 9일(금) 성황리에 개최됐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국가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안에서 소외돼 온 이상지질혈증의 정책적 관리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상지질혈증은 혈중 내의 지질(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을 벗어난 상태를 가리키며,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등을 모두 포함하는 질환이다. 고혈압·당뇨병과 함께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대표 위험인자로 평가되는 이상지질혈증의 유병규모는 20세 이상의 성인 기준 1,155만 명으로(2018년 기준), 2002년 이후 약 7.7배나 폭증했다.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전문가 정책 간담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전문가 정책 간담회'

행사를 주재한 신현영 국회의원은 “2020년 3월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 개정으로 이상지질혈증이 법정 관리 질환에 포함된 것은 의미 있는 성과이나, 국가 예산과 사업 등 적절한 후속 대책은 부재한 상황”이라며, “고령화 시대에 우리 국민이 만성질환을 극복하고 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자 이번 간담회를 주최했다”고 밝혔다.

좌장을 맡은 최동훈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이사장은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38.4%에 이르며, 이미 20대 인구의 5명 중 1명은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기대수명과 고령인구가 급증하는 현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지질 관리를 하지 않으면 사회경제적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때가 도래할 것”이라며 화두를 던졌다.

첫 번째 발표자인 김대중 교수(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기획이사, 아주의대)는 ‘국내 이상지질혈증 진단 및 치료 현황’ 주제 발표를 통해 선제적인 이상지질혈증 관리와 그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교수는 “2030세대 이상지질혈증 환자들이 크게 늘고 있는데, 조기에 지질 관리를 하지 않으면 40세를 넘어가면서 결국 고혈압 또는 당뇨병을 동반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내 이상지질혈증 환자 4명 중 3명은 고혈압 또는 당뇨병을 함께 치료 중인 상황을 설명하고, “혈압과 혈당이 높은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경우 급성 질환으로 번질 위험이 7배 이상 커지기 때문에 더욱 선제적인 관리가 요구된다”며 정책적 관심을 촉구했다.

두 번째 연자로 나선 최성희 교수(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대외협력이사, 서울의대)는 이상지질혈증이 정부 정책 및 사업 계획에서 소외받아온 현실을 언급하고, 우선순위 향상 방안들을 제안했다. 먼저, 최 교수는 “대한내과의사회 등 개원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 가장 시급한 개선 사항은 2018년 이상지질혈증 국가검진주기가 2년에서 4년으로 늘어난 것”이라고 지적하며, ▲혈압·혈당·지질 등을 함께 관리하는 통합관리 정책으로의 전환 ▲선제적인 환자 발굴을 위한 검진제도 개선(검진 주기, 검진 시작연령)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사업 내 이상지질혈증 단독 관리모형 수립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 등을 정책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이해영 교수(대한고혈압학회 총무이사, 서울의대), 김종화 교수(대한당뇨병학회 보험·대관이사, 세종병원), 윤종찬 교수(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대외협력간사, 가톨릭의대), 이진한 의학전문기자(동아일보), 고형우 과장(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이 패널로 참석해 토론을 이어갔다.

이해영 대한고혈압학회 총무이사는 “이상지질혈증은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릴 정도로 증상이 없어 검진을 통한 환자 발굴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이상지질혈증 국가검진 주기가 2년에서 4년으로 연장된 것은 유관 학회 소속 전문가로서 심히 우려스렵다”고 말했다. 

김종화 대한당뇨병학회 보험·대관이사는 “이상지질혈증은 조기에 진단하고 이를 적기에 치료하면 90% 이상은 조절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국가가 정책적으로 관심을 갖고 인식 개선과 관리에 나선다면 의료비 절감과 국민 건강 증진 등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고형우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장은 “정부에서도 이상지질혈증을 우선순위로 관리해야 할 질환으로 보고 있다”며, “금일 제시된 의견을 토대로, 유관 학회들과의 토의를 통해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인식 개선과 질환 관리 시스템 마련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동훈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이사장은 “이번 간담회가 이상지질혈증 관리 정책·제도의 전환점이 되기를 바라며, 학회에서도 심뇌혈관질환의 효과적인 예방∙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타 학회 및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교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