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저명 의학전문지에 소개된 연구 결과 공개
-mRNA 계열 백신 3회 이상 접종 시 바이러스 침투 어려울 정도로 항체 생성
-전 웨리 연구소장 “4차 접종, 대부분에게는 불필요할 수도 있어”
-mRNA 계열 백신 3회 이상 접종 시 바이러스 침투 어려울 정도로 항체 생성
-전 웨리 연구소장 “4차 접종, 대부분에게는 불필요할 수도 있어”
[헬스컨슈머] 부스터샷 접종을 맞은 사람은 이후 몇 년간 추가 접종이 필요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예방 효과가 충분하다는 이유에서다.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는 저명 의학전문지에 소개된 연구 결과들을 공개했다. 해당 연구 내용에 의하면 총 3회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충분한 예방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를 진행한 전 웨리 펜실베이니아대 면역학연구소장은 “65세 이상 고위험군의 경우 4차 접종이 필요할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대부분에게는 불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나 모더나 등 mRNA 계열 백신을 3회 이상 접종하면 어떠한 변이 바이러스도 침투하기 어려울 정도로 훨씬 다양한 항체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은 T세포와 B세포다. T세포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기존 변이 대비 80%의 효력을 보이며, 3회차 접종 후에 풍부해지는 B세포는 광범위한 변이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바이러스에 대한 기억을 심어놓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 달간 최고 권위 저널에 게재된 최소 4편의 논문에 따르면, 항체뿐 아니라 인체의 다른 면역체계도 몇 달 내지 몇 년간 바이러스를 기억해 파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리호이아면역학연구소 알렉산드로 세티는 전문지 ‘셀’에 기고한 논문을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항체가 줄어들어도 B·T세포는 계속 남아 상대적으로 빠르게 반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헬스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