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성장에 따라 공공보건의료 강화는 보편적 권리
시민사회 성장에 따라 공공보건의료 강화는 보편적 권리
  • 윤지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9.19 14:50
  • 최종수정 2022.09.19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사연, ‘공공보건의료 현황 진단과 과제’ 다뤄

 

보건복지포럼 9월호 표지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9월호 표지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헬스컨슈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이 보건복지포럼 9월호를 펴내면서 이달의 초점으로 ‘공공보건의료 현황 진단과 과제’를 다뤘다.

이번호에서 ‘공공보건의료 강화 방안’을 기고한 임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교수는 “사익 추구적 특성을 갖고 있는 한국 보건의료체계가 인구 구조의 급격한 고령화와 맞물려 심각한 보건의료 위기 현상을 발생시키면서 공공보건의료 강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과거 보건의료는 시장 실패의 가능성이 커서 공공성이 강조되어 왔는데, 최근 시민사회의 성장에 따라 보편적 권리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공공성이 더 강조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최소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관한 필수의료서비스는 보장해야 한다는 정책 방향이 확립되고 있다. 특히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의료 자원, 의료 이용, 건강 결과의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와 사회의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며 “필수의료를 담당하는 모든 의료기관에 필수의료 인프라 확충에 필요한 자본 비용을 지원하고 공공정책수가를 통해 경상비용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진료권 전체 주민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공공병원을 책임의료기관으로 지정하고 민간병원을 주도해 나갈 수 있을 만한 역량과 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방의료원의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하여 조승연 인천광역시의료원장·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은 “우리나라는 근대의료 도입 당시부터 민간병원이 주도하는 수익 중심의 상업주의적 의료체계로 발전해 왔으며, 공공의료기관은 수익이 낮아 민간이 관심 두지 않는 미충족 의료를 담당하는 역할에 머물러 왔다”고 전제하고 “이제 세계 10위권의 경제력을 가진 선진국 진입을 앞두고 있으나 약한 공공성과 취약한 공공 인프라로 인해 공공보건의료의 목표인 지역, 계층 및 분야 간 격차 해소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정부는 필수의료서비스의 형평성 있는 제공을 통해 공공보건의료를 국가 의료의 중심으로 끌어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그 핵심 수단인 지방의료원이 매우 취약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따라서 “수를 늘리고 규모와 시설을 보강하고 충분한 의료 인력을 확보하여 지방의료원이 제대로 된 지역 책임의료기관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야말로 지역균형발전을 이끌 공공보건의료의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시급한 과제이자 성과의 지표가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어 ‘지방의료원 지불보상체계와 재정 지원 개선 방안’에 대해 배재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방의료원 지불보상체계 및 재정 지원 개선을 위해 고려할 주요 사항으로 우선, 회계연도별 적자가 발생하지 않는 지불보상체계 및 재정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필수의료 부문에 대해 시설, 장비 확충을 위한 자본 비용뿐만 아니라 의사, 간호사 등 필요 인력에 대한 인건비 등의 경상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재정 운용 원칙을 개선해야 하며, 지방의료원 지불보상체계 및 재정 지원 방안을 마련할 때 지역별, 기관별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공공보건의료 연계·협력 추진 현황과 과제’를 발표한 손정인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연계질향상팀 팀장은 “공공보건의료 연계·협력은 건강의 사회적 모형, 인구 고령화, 사람 중심 관점에서 필요하며, 그 원칙은 체계적 관점의 포괄적·통합적 대응과 지역사회 중심이다”고 규정했다.

그는 “2012년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과 2018년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에 따라 보편적 개념의 공공보건의료가 등장하고, 지방정부의 책임성이 강화되었으며, 공공보건의료 연계·협력 기반이 마련되었다. 공공보건의료 연계·협력의 주요 실행 주체는 시·도와 함께 시·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책임의료기관이며 2019년부터 확충되어 2022년 기준으로 각각 16곳, 58곳이 운영 중이다”는 현황을 설명했다.

또한 “이들이 주축이 되어 ‘시·도 공공보건의료위원회’ 중심의 정책 거버넌스와 ‘필수보건의료 원외 협의체’ 중심의 제공 거버넌스를 구축·운영하고 지역 완결적 필수보건의료 제공을 실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와 시·도는 지역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국가계획과 예산, 건강보험 지불보상, 행정, 인력, 조직, 정보시스템 개선 방안을 마련,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