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컨슈머] 올들어 코로나19를 벗어나는 시점에서 실외 어린이 안전사고가 급격히 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 이하 ‘소비자원’)은 영아기(0세)부터 걸음마기(1∼3세), 유아기(4∼6세)를 포함하고 학령기(7∼14세)에 이르는,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2022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하 CISS)에 접수된 어린이 안전사고는 21,642건으로 전체 안전사고 건수의 27.5%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3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 단계적 일상회복 과정에서 야외활동이 증가하며 ’교육시설‘, ’놀이터‘ 등 집 밖에서의 어린이 안전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안전사고의 유형 중 추락사고의 경우 최근 감소 추세였으나, 2022년은 전년(3,750건) 대비 40.6%(1,524건) 증가한 5,274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락 관련 안전사고는 영아기의 어린이에게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발달단계별 추락사고 비중은 영아기가 57.7%, 걸음마기가 20.5%, 유아기가 18.0%, 학령기가 12.5%의 순이었다.
이물 삼킴/흡인 사고 유형은 전년도의 1,712건 대비 22.1% 증가한 2,091건이 접수됐는데, 해당 사고 유형의 83.1%가 ‘걸음마기’와 ‘유아기’ 어린이에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안전사고 관련 사례와 주의사항을 잘 숙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더불어 어린이, 고령자 등 안전 취약계층과 관련한 위해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분석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소비자원은 2022년 CISS에 접수된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는 21,642건으로 전체 안전사고 건수의 27.5%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36.4%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위해정보 중 어린이 안전사고 비율은 코로나19 시기(2020년~2021년)에 감소하다가 지난해 다시 증가했으나, 코로나 이전(2019년)에 비하면 감소한 것으로 소비자원은 밝혔다.
이는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일상 회복에 따른 어린이의 야외활동이 늘면서 ’교육시설‘ 등에서의 안전사고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소비자원은 덧붙였다.
[ 최근 5년간 CISS에 접수된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
(단위: 건, %)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전체 안전사고 건수 |
72,013 |
73,007 |
70,022 |
74,000 |
78,596 |
|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 |
24,097 |
24,971 |
18,494 |
15,871 |
21,642 |
|
|
전년 대비 증감률 |
△6.2 |
3.6 |
△25.9 |
△14.2 |
36.4 |
어린이 안전사고 비율* |
33.5 |
34.2 |
26.4 |
21.4 |
27.5 |
발달단계별로는 최근 5년간 발달단계별 안전사고는 ‘걸음마기’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학령기’, ‘유아기’ 및 ‘영아기’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학령기’의 어린이 안전사고 비중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놀이시설 이용 등 야외활동 증가와 관련된 안전사고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교육시설’ 등 단계적 일상 회복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비율 높아졌는데 최근 5년간 위해발생장소를 대분류 기준으로 확인한 결과, ‘주택’이 가장 많았고, 매년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 장소의 65%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도로 및 인도’, ‘교육시설’, ‘여가 및 문화시설’ 등의 순이었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단계적 일상 회복이 시작된 2022년은 ‘교육시설’ 110.3%(591건) ‘스포츠/레저시설’ 138.3%(372건), ‘숙박 및 음식점’ 60.8%(214건) 등 야외활동 관련 장소에서 발생한 어린이 안전사고 접수가 전년 대비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 최근 5년간 위해발생장소별 현황(어린이) ]
(단위: 건, %)
구분(대분류)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주택 |
16,343 |
67.8 |
16,749 |
67.1 |
13,218 |
71.5 |
11,286 |
71.1 |
14,219 |
65.7 |
도로 및 인도 |
789 |
3.3 |
1,147 |
4.6 |
1,528 |
8.3 |
1,203 |
7.6 |
1,598 |
7.4 |
교육시설 |
1,474 |
6.1 |
1,602 |
6.4 |
513 |
2.8 |
536 |
3.4 |
1,127 |
5.2 |
여가·문화 및 놀이시설 |
1,309 |
5.4 |
1,500 |
6.0 |
788 |
4.3 |
603 |
3.8 |
938 |
4.3 |
숙박 및 음식점 |
827 |
3.4 |
725 |
2.9 |
473 |
2.5 |
352 |
2.2 |
566 |
2.6 |
스포츠-레저시설 |
428 |
1.8 |
614 |
2.5 |
340 |
1.8 |
269 |
1.7 |
641 |
3.0 |
쇼핑시설 |
265 |
1.1 |
266 |
1.1 |
110 |
0.6 |
68 |
0.4 |
110 |
0.5 |
소비자원은 또 ‘이물 삼킴/흡인사고’, ‘걸음마기’·‘유아기’에서 83.1%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유형별로는 미끄러짐‧넘어짐‧부딪힘) 2019년 이후 매년 감소하다가 2022년에는 8,017건이 접수되어 전년(6,221건) 대비 28.9%(1,796건) 증가했으며 관련 위해품목은 ‘바닥재’ 30.1%(13,357건), ‘놀이장비 및 액세서리’ 9.7%(4,311건), ‘자전거’ 7.1%(3,13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발달단계별로는 ‘걸음마기’ 47.5%, ‘유아기’ 26.5%, ‘학령기’ 22.8%, ‘영아기’ 3.3% 순이었으며 추락사고는 최근 5년간 2019년을 제외하고 매년 감소해 왔으나, 2022년은 5,274건으로 전년(3,750건) 대비 40.6%(1,524건)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주요 위해품목은 ‘침실가구’ 34.1%(7,738건), ‘놀이터 시설’ 19.1%(4,332건), ‘거실가구’ 11.0%(2,487건) 등의 순이었으며 추락사고가 많이 발생한 연령대를 발달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걸음마기’ 41.6%, ‘영아기’ 25.3%, ‘유아기’ 19.3%, ‘학령기’ 13.8% 순이었다고 소개했다.
이에 더해 ‘추락’ 사고는 ‘걸음마기’ 이전 어린이에게 다발하는 사고 유형의 하나로 영아기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사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발달단계별 추락사고 비중은 영아기(57.7%), 걸음마기(20.5%), 유아기(18.0%), 학령기(12.5%)이었다고 밝혔다.
[ 발달단계별 추락사고 현황(2018~2022년) ] (단위: 건, (%)) |
||||||||||
구분 |
영아기(0세) |
걸음마기(1∼3세) |
유아기(4∼6세) |
학령기(7∼14세) |
합계 |
|||||
남아 |
3,142 |
5,310 |
2,512 |
1,902 |
12,866 |
(56.8) |
||||
여아 |
2,589 |
4,108 |
1,870 |
1,229 |
9,796 |
(43.2) |
||||
합계 |
5,731 |
(25.3) |
9,418 |
(41.6) |
4,382 |
(19.3) |
3,131 |
(13.8) |
22,662 |
(100.0) |
아울러 최근 5년간 ‘눌림·끼임’ 사고는 2019년을 제외하고 매년 감소해 왔으나, 2022년 1,168건으로 전년(939건) 대비 24.4%(229건) 증가했고 위해품목은 ‘문’이 46.2%(3,161건)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고, ‘기타승용물’ 16.6%(1,138건), ‘자전거’ 6.2%(421건) 순이었으며 연령별로는 ‘걸음마기’ 52.5%, ‘유아기’ 25.2%, ‘학령기’ 16.9%, ‘영아기’ 5.4% 순이었다고 설명했다.
이물 삼킴/흡인 사고도 지난 5년간 2021년을 제외하고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은 2,091건으로 전년(1,712건) 대비 22.1%(379건) 증가했으며 위해품목은 ‘완구’ 46.8%(4,340건)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문구용품 및 학습용품’ 7.4%(687건), ‘기타 생활용품’ 4.2%(387건) 등의 순이고 연령별로는‘걸음마기’ 57.1%, ‘유아기’ 26.0%, ‘학령기’ 11.1%, ‘영아기’ 5.8% 순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발달단계별 이물 삼킴/흡인사고 현황(2018~2022년) ] (단위: 건, (%)) |
||||||||||
구분 |
영아기(0세) |
걸음마기(1∼3세) |
유아기(4∼6세) |
학령기(7∼14세) |
합계 |
|||||
남아 |
262 |
2,559 |
1,413 |
628 |
4,862 |
(52.4) |
||||
여아 |
272 |
2,736 |
1,001 |
396 |
4,405 |
(47.5) |
||||
미상 |
2 |
5 |
1 |
2 |
10 |
(0.1) |
||||
합계 |
536 |
(5.8) |
5,296 |
(57.1) |
2,415 |
(26.0) |
1,026 |
(11.1) |
9,277 |
(100.0) |
이와 함께 고온물질에 의한 위해사고는 최근 5년간 등락을 반복하다가 2022년은 461건으로 전년(354건) 대비 30.2%(107건) 증가했고 위해품목은 ‘주방 가전’ 39.4%(1,098건)로 가장 많았고 ‘이·미용 및 생활가전’ 13.0%(363건), ‘식기, 접시 및 컵’ 11.2%(311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걸음마기’ 58.7%, ‘영아기’ 16.1%, ‘유아기’ 12.6%, ‘학령기’ 12.6% 순이었음을 밝혔다.
중독사고의 경우는 최근 5년간 2021년을 제외하고 매년 감소했으며, 2022년은 14건으로 전년(38건) 대비 63.2%(24건) 감소했는데 연령별로는 ‘걸음마기’ 62.4%, ‘학령기’ 20.2%, ‘영아기’ 9.0%, ‘유아기’ 8.4% 순이었다고 소개했다.
[ 주요 유형별 위해품목 현황(2018~2022년) ] |
|||
사고유형 |
주요 위해품목 |
||
미끄러짐‧넘어짐부딪힘 |
바닥재(13,357건, 30.1%) |
놀이장비-액세서리(4,311건, 9.7%) |
자전거(3,139건, 7.1%) |
추락 |
가구(7,738건, 34.1%) |
놀이터 시설(4,332건, 19.1%) |
거실가구(2,487건, 11.0%) |
눌림·끼임 |
문(3,161건, 46.2%) |
기타 승용물(1,138건, 16.6%) |
자전거(421건, 6.2%) |
예리함 마감처리 불량 |
문구류(1,255건, 29.2%) |
식기류(379건, 8.8%) |
완구(356건, 8.3%) |
이물질(기타) |
완구(1,155건, 27.8%) |
문구-학습용품(596건, 14.3%) |
배터리-액세서리(336건, 8.1%) |
기타 물리적충격 |
필드 및 코트 운동장비 (1,479건, 43.1%) |
놀이시설(177건, 5.2%) |
완구(175건, 5.1%) |
이물질 |
완구(2,839건, 85.4%) |
모조보석제품(91건, 2.7%) |
바느질용품(64건, 1.9%) |
고온물질 |
주방-가전(1,098건,39.4%) |
이미용 및 생활가전(363건, 13.0%) |
식기,접시,컵(311건, 11.2%) |
중독사고 |
의약품(76건, 42.7%) |
의약외품(19건, 10.7%) |
청소-세탁용품(16건, 9.0%) |
소비자원은 따라서 어린이 안전사고 중에서 ‘영아기·걸음마기’(0~3세)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유아기·학령기’(4~14세)는 환경과 더불어 어린이의 행동적인 특성이 안전사고 발생에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어린이의 성장 시기에 따른 연령별 안전사고 예방 교육이 꾸준히 지속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원은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 침대, 소파 등의 아래에 완충재를 설치하고 아기를 높은 곳에 혼자 두지 말 것 ▲ 스티커, 단추형 건전지 동전 등은 아이가 쉽게 열 수 없는 보관함에 정리해 둘 것 ▲ 미끄러짐 등의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놀이터, 키즈카페에서는 어린이들이 놀이기구 사용법과 안전 수칙을 숙지하도록 지도할 것 ▲ 축구, 야구 등 공을 이용한 체육활동은 부딪히거나 공에 맞을 수 있으므로, 이미 아이들이 공놀이를 하고 있는 곳 주변에서 활동하지 않도록 감독 및 지도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