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가 옮기는 질병? 예방 외에는 뾰족한 수가...
모기가 옮기는 질병? 예방 외에는 뾰족한 수가...
  • 최숙희 기자
  • 기사입력 2019.08.30 10:30
  • 최종수정 2019.08.30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컨슈머]선선한 바람과 짧고 굵게 쏟아진 빗줄기, 전기세 고지서를 애써 외면하면서 에어컨을 키고 자리에 눕던 여름밤도 이제는 끝난 듯하다. 하지만 기뻐하기엔 아직 이르다, 당신의 탐스러운 피부를 노리는 여름밤의 자객, 모기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모기, 모기, 모기!]

다들 모기라면 치를 떠는 이유, 바로 성가신 소리와 짜증이 치밀어오르는 간지러움이다. 소리야 귀마개를 끼는 등의 방법으로 어떻게 해결이 가능하고, 장기적인 영향이라고 할 것도 없다. 하지만 간지러움은 다르다, 모기에 물리면 그 부위가 부어오르고 간지러움을 느끼며 곧 가라앉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무엇보다 모기는 치명적인 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해야 한다.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 등의 방면에서 우리나라는 비교적 안전한 편이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한반도 온도가 높고 습하기 때문에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같은 시기에 동남아 등으로 여름휴가를 떠나는 사람 역시도 굉장히 많은 수이기 때문에 조심할 필요는 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서 옮는데,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와 같은 동물들을 작은빨간집모기가 흡혈한 후 사람을 물었을 때 전염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 소형 모기이며 주로 모기의 활동이 왕성한 8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한다.

제대로 된 처치를 받지 못해 급성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나중에 몸이 회복되어도 1/3가량은 신경계 합병증이 남을 수 있으며 감염 시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으므로 예방이 최선의 해결책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감염내과 김종훈 교수는 “모기는 후각과 시각, 열 감지 능력으로 피를 빨아먹을 대상을 찾는데, 이산화탄소와 열 그리고 젖산을 감지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흡혈 대상의 사람을 찾아서 공격한다”며 “모기에 물리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모기에 물리고 39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거나 경련과 혼수 등의 신경학적 증세가 나타난다면 최대한 빠르게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라고 설명했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모기를 막아보자]

모기는 2mm의 작은 구멍으로도 들어올 수 있으므로 구멍이 작고 튼튼한 방충망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환기구 같은 곳에서도 방충망 처리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모기는 생태적으로 물이 고인 곳에 알을 낳는다, 이 말인즉 야외의 물웅덩이 뿐 아니라 우리 집의 화장실, 부엌의 배수관 구멍도 모기들의 아늑한 집으로 둔갑할 수 있다는 의미다. 평소에도 물이 세차게 내려간다고 해도, 애초에 물에 사는 장구벌레(모기의 유충)들이 쓸려간다는 보장도 없다. 설사 쓸려내려간다고 하더라도 모기로 변해서 다시 날아올라오면 그만이다.

이것은 집안에서 우리를 귀찮게 하는 초파리 등의 벌레들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배수관과 하수관에는 주기적으로 끓는 물을 부어주어 모기 알과 유충을 박멸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야외활동을 할 때에는 되도록 밝은 색을 띄는 긴팔 옷을 입으며 맨살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함을 느낀다면 곤충 기피제를 구비해 수시로 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