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이 답답하거나 아프다면?...협심증 의심해 봐야 할 필요
가슴이 답답하거나 아프다면?...협심증 의심해 봐야 할 필요
  • 조동환 기자
  • 기사입력 2024.02.21 11:21
  • 최종수정 2024.02.21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산병원 심장내과 강도윤 교수가 전하는 심장이상의 예방과 치료 
(출처) 게티이미지코리아
(출처) 게티이미지코리아

 

[헬스컨슈머]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강도윤 교수는 고령화 사회에서 주의해야 할 하나인 심장병으로 협심증에 대한 주의와 조기발견의 중요성을 당부하고 있다. 사례를 통해 협심증의 발견부터 치료와 관리에 이르는 길을 알아본다.  [편집자 주]

사례 : 전라북도 고창에서 농사를 짓는 60대 후반의 남성 A씨는 작년 하반기부터 가끔 숨이 차 일할 때 일하는 중간중간 쉬어야 하는 경우가 생겼다. 

‘좀 쉬면 낫겠지’ 생각했는데 겨울철이 되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왠지 가슴이 조이는 느낌도 들고, 답답해졌다. 

몸을 많이 쓰는 날엔 간헐적인 통증도 있었지만 조금 쉬면 금세 통증이 풀리곤 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하지만 증상을 유심히 지켜보던 자녀가 병원진료를 권유했다. 

진료 후 시행한 관상동맥 CT 검사 결과 심장 관상동맥 세 가닥 중 두 가닥이 심하게 좁아져 있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 좌전하행동맥에 90%의 협착이 있어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시행받았다.

많은 어르신들이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다고 입버릇처럼 말씀하시곤 한다. 

노화로 인한 현상일 수도 있으나, 협심증과 같은 심장 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물론, 가슴 통증이 있다고 모두 협심증인 것은 아니다. 

위장 질환, 근육통, 신경증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어 섣부른 판단은 주의해야 한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영양 상태가 좋아지면서 심혈관 질환 환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2022년 사망 원인 통계 결과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의 첫 번째 원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암에 이어 전체 사망 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가슴이 아프거나 숨이 찬 증상이 있다면 혹시 심장병은 아닌지 눈여겨 보아야 한다.

 

‘좀 쉬면 낫겠지’ 생각하면 안 되는 협심증의 특징

➤협심증과 심장혈관협착. 서울아산병원 제공

 

 
협심증이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란 혈관이 동맥경화로 인해 좁아지면서 심장으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지는 병이다. 

가장 흔히 경험하는 증상은 가슴 통증(흉통)이다. 환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환자는 ‘가슴을 짓누르는 듯하다’, ‘가슴에 고춧가루를 뿌려 놓은 느낌이다’, ‘숨이 차다’ 등으로 증상을 표현한다.

협심증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안정 시에는 통증이 없다가 심장근육에 많은 산소가 필요한 상황에 증상이 유발된다는 점이다. 

운동할 때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차가운 날씨에 노출될 때, 흥분한 경우에 증상이 발생한다.

가운데 혹은 좌측 가슴이 아프고 통증이 5~10분 정도 이어지다가 휴식하면 나아지는 것이 전형적인 협심증의 증상이다. 

그래서 ‘좀 쉬면 괜찮아진다’고 생각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병이 심해지면 안정 시에도 통증이 발생하고 지속시간도 길어질 수 있다.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가만히 있어도 아플 경우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이 의심되며, 이런 경우 응급실로 내원하여야 한다.

협심증의 여러 요인 중에는 고령, 가족력, 비만, 흡연,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이 있다. 

직접적인 협심증의 이유는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는 것이다. 

혈관이 좁아지면 심장근육에 혈액 부족 증상이 생기고, 전신에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은 근본적으로 같은 병이다. 

이러한 관상동맥 협착이 만성으로 진행하면 협심증, 급성으로 진행하면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며 협심증 환자에게서도 심근경색이 발생하기도 한다.

 

약으로 통증 조절, 증상 심해지면 시술이나 수술로 치료 

협심증의 진단과 치료는 병의 진행 정도와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다르다. 

➤심장 혈관 스텐트 시술. 서울아산병원 제공


협심증이 의심되면 심전도, 운동부하검사, 심장 초음파, 심근 스펙트, 관상동맥 CT 등의 검사를 진행하며, 확진을 위해서는 관상동맥에 직접 관을 넣어 사진을 찍는 관상 동맥 조영술을 시행하게 된다. 

병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증상이 잘 조절되면 항혈소판제제와 콜레스테롤 저하제, 혈관 확장제와 같은 약물로 치료한다. 

하지만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가 심하고 이로 인해 흉통이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다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악화를 막기 위해 혈관을 재개통시켜주는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재개통 치료법으로는 관상동맥 중재시술 혹은 관상동맥 우회수술 등이 있다.

최근 환자들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당뇨병, 신장질환 등 만성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늘어나면서 수술 없이 치료하는 관상 동맥 중재 시술이 보편적 치료법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관상 동맥 조영술과 같은 방법으로 팔이나 다리 혈관을 통해 관상 동맥에 관을 삽입하고 막힌 혈관 부위를 풍선이나 스텐트(철망)로 확장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전신 마취를 하지 않아도 되고, 회복 기간이 짧으며, 흉터도 남지 않아 협심증 치료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협착의 중증도가 매우 심한 경우엔 심장혈관흉부외과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통해 치료하게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금연과 평생 관리

심혈관 질환은 일찍 발견하고 큰일을 겪기 전에 미리 관리하는 것이 제일이다. 

위에 언급한 위험인자들을 미리 관리하고 흉통이 생길 경우 참지 말고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강도윤 교수(좌)가 안정민 교수(우)와 함께 심장 스텐트 시술을 하고 있다.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금연이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금연 후 1년이 지나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절반으로 감소하며 15년이 지나면 전혀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과 위험도가 비슷해지니 하루라도 빨리, 오늘 당장 끊는 것이 중요하다.
 
그 밖에도 탄수화물과 포화지방을 줄이는 건강한 식사와 운동, 체중 감량, 동반질환 관리를 통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심혈관 질환에는 완치가 없다. 

관상 동맥 중재 시술이나 관상 동맥 우회수술을 받았다고 질환이 완전히 낫는 것이 아니다. 

동맥경화증은 전신 혈관에 발생하고, 진행하는 만성 질환으로 평생 관리해야 한다. 

시술이나 수술을 받았다고 관리를 소홀히 했다가 협착이 재발하거나 스텐트 혈전증을 겪을 수도 있고 스텐트 시술을 받았다 하더라도 약물 치료는 꾸준히 병행해야 하며 치료후에도 금연 운동 투약 이 세가지를 꼭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