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패혈증 환자, 선진국의 2배…해결법은 '묶음치료'
국내 패혈증 환자, 선진국의 2배…해결법은 '묶음치료'
  • 최숙희 기자
  • 기사입력 2020.07.16 12:55
  • 최종수정 2020.07.16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패혈증 사망률 39%, 선진국의 2배 웃돌아
'묶음치료' 수행률 높여 사망률 낮춰야
"패혈증 일괄 관리·감시하는 전국적 시스템 구축 필요해"
사진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제공: 게티이미지뱅크

[헬스컨슈머]국내 패혈증 사망률이 선진국의 2배를 웃도는 평균 3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패혈증 치료법으로, 패혈증의 사망률이 낮은 나라들이 시행하는 묶음치료수행률을 높여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제기됐다.

패혈증은 혈액 내 세균 등 감염으로 혈관이 손상돼 혈액·염증세포가 온몸으로 누출돼 주요 장기를 손상시키는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00만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현재로써는 뚜렷한 치료제가 없다. 이번에 필요성이 제기된 묶음치료는 유산농도 측정, 혈액배양검사 시행, 항생제·수액 투여, 승압제 사용 등을 모두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6시간 안에 묶음치료를 하는 게 사망률을 낮추는 데 중요한 요소다.

국내 패혈증 사망률을 조사한 연구팀이 16일 질병관리본부에 제출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092013년 국내 패혈증 평균 사망률은 38.9%2014년 호주 중증 패혈증 사망률(18.4%)2.1배였다.

또한 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망률이 낮은 경제활동인구(1860)에서도 연평균 9,379명의 환자가 발생해 2,694(28.7%)이 사망했다.

연구팀은 국내 패혈증 사망률이 높은 원인으로, 일관된 관리·감시체계가 없고 사망률을 낮추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묶음치료 수행률이 낮다는 점을 꼽았다.

미국,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들은 패혈증 등 다양한 중증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조사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이 있다. 일본 또한 패혈증 등록사업위원회를 구성해 묶음치료 수행률을 높이고 있다.

묶음치료의 효과가 입증된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국의 예시가 있다. 20092014년 패혈증 발생률이 증가했지만, 사망률은 감소한 미국에서는 패혈증 3시간 묶음치료 수행률이 1843.5%로 조사됐다.

반면, 우리나라의 패혈증 묶음치료 수행률은 5.6%에 불과했다. 병원별·지역별 편차도 컸다. 1시간 이내 묶음치료 수행률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은 9.2%로 종합병원(1.5%)6.31,500병상 이상의 대형 의료기관은 10.6%1,000병상 미만 의료기관(2.6%)4.1수도권은 8.86%로 비수도권(3.53%)2.5배였다. 3시간, 6시간 이내 묶음치료 수행률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패혈증을 일괄적으로 관리·감시하는 전국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국민 인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움말: 울산대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