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피성 암종, 비상피성 육종 어떻게 다를까?
상피성 암종, 비상피성 육종 어떻게 다를까?
  • 장석원 원장(충민내과 원장, 연세대 의대 임상지도교수, 대한임상통합의학회 회장)
  • 기사입력 2020.11.20 16:53
  • 최종수정 2020.11.20 16: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컨슈머]우리 몸의 세포는 상피성 세포와 비상피성 세포의 2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우리 몸의 겉을 덮고 있는 표피를 피부라 한다. 피부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내부도 그렇다. 입안, 콧속, 식도, 위를 포함한 소장, 대장, 췌장, 간, 폐, 방광, 직장, 항문, 유방 등도 모두 점막 피부로 덮여 있는 것이다.

즉 상피세포란 몸 표면(피부)과 몸 안의 체강(위장 점막상피)을 이루는 세포를 총칭한다. 비상피성 세포는 상피세포나 점막세포들 사이에 끼여 지주 역할을 하는 것들인데 혈관, 지방, 근육, 연골, 뼈, 신경조직들을 총칭한다. 따라서 암은 그 암세포의 기원에 따라 상피성인 암종과 비상피성인 육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상피성 암]

우리 몸의 상피조직, 즉 피부와 위장 점막 상피를 싸고 있는 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을 상피암이라고 한다. 따라서 피부에서 생기는 피부암, 기관지를 덮고 있는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폐암은 상피암에 속한다. 암을 분류할 때 보통 구강암, 식도암, 위암, 간암, 췌장암, 대장암, 직장암, 폐암, 유방암이라고 하는 것은 장기별로 분류한 것이며 조직학적인 분류로는 상피암종이다.

인간에게는 상피성인 암종이 비상피성인 육종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그래서 상피암을 보통 암이라 부른다. 인체에서 발생하는 암종의 약 90% 이상이 상피조직에서 기원한다. 그 이유는 상피조직이 인체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장기의 외면을 형성하고 있어 각종 발암물질과 접촉이 쉽기 때문이기도 하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비상피성 육종]

반면에 상피조직의 안쪽에 위치하는 조직인 지방이나 근육층, 뼈에서 발생하는 암을 육종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지방육종, 근육종, 골육종이라고 불리고 있는 것들이다.

암종은 딱딱하고 돌처럼 단단한 경우가 많은 반면 비상피암은 육질로 된 고기 정도로 덜 단단하다. 또 현미경으로 봐서 진단하는 병리 조직학적 진단의 한 방법으로 암의 분화도가 높거나 낮은 것을 기준으로 잘 분화된 (well-differentiated) 암과 미분화된(poorly-differentiatd or undifferentiated) 암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암의 분화]

잘 분화된 암은 그 종양이 기원된 조직의 정상세포와 유사한 세포로 이루어진 것이며 미분화된 암은 그 종양이 기원된 조직의 정상세포와 동떨어진 세포로 구성되어 조직학적으로 어느 장기에서 발생했는지 그 조직의 특징조차 발견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양성종양은 조직의 분화도가 좋아 정상조직에 가까우며 악성종양일수록 조직의 분화도가 나빠 정상조직과는 멀어지게 된다. 분화도가 낮은 미분화 암은 암종이든 육종이든 악성도가 높아 침윤이나 전이를 잘 일으켜 예후가 나쁘다. 통상적으로 20~3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는 미분화암이 많고 장년 및 노년층에서는 분화암이 많다.

즉 암의 악성도가 강한 경우와 비교적 약한 경우는 암세포의 분화도로 결정한다. 같은 암인데도 악성이 강한 암은 분화도가 나쁘고 진행이 빠르며 재발에도 영향을 미쳐 치료 예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생존율이 낮고 암의 진행상태가 빠른 특정 암의 경우에는 분화 양상이 나쁜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