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 기만하는 화면 많다
주요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 기만하는 화면 많다
  • 박채은 기자
  • 기사입력 2023.11.07 14:25
  • 최종수정 2023.11.07 14: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원 조사결과 평균 5.6개 유형의 다크패턴 사용
(출처) 게티이미지코리아
(출처) 게티이미지코리아

 

[헬스컨슈머] 전자상거래 사업자들의 빅테크를 이용한 온라인상의 다크패턴은 명백한 기만행위부터 일상적인 마케팅까지 범위가 넓고 교묘히 이루어지는 것들이 많다.
  
다크패턴이란 소비자의 착각, 실수, 비합리적 지출 등을 유도할 의도로 설계된 온라인 화면 배치(인터페이스)를 말한다.
한국소비자원이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발표한 ‘온라인 다크패턴 자율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내 온라인 쇼핑몰(38개)의 웹사이트 및 모바일앱 각각(76개)에 대한 다크패턴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11월 6일 발표했다. 

그 결과 확인된 다크패턴의 수*는 총 429개로 평균 5.6개의 다크패턴 유형을 사용하고 있었고 소비자원은 같은 유형의 다크패턴이 여러 번 확인되는 경우 1회로 간주했다고 덧붙였다. 

소비자원은 공정위는 온라인 다크패턴 세부 유형을 19개로 구분하고, 사업자 관리사항과 소비자 유의사항을 담은 ‘온라인 다크패턴 자율관리 가이드라인’을 올해 7월에 발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소비자원에 따르면 조사대상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다크패턴 유형은 “지금까지 000개 구매”와 같은 ‘다른 소비자의 활동 알림’(93.4%)‘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감정적 언어사용’(86.8%), ‘시간제한 알림’(75.0%) 순으로 나타났다.


 
[ 76개 인터페이스의 다크패턴 사용 빈도(429개) ]  (단위 : 개, %)

구분

다크패턴 유형

개수(비율)

1

다른 소비자의 활동 알림

71(93.4)

2

감정적 언어사용

66(86.8)

3

시간제한 알림

57(75.0)

4

특정옵션 사전선택

37(48.7)

5

숨겨진 정보

34(44.7)

6

낮은 재고 알림

27(35.5)

7

유인 판매

22(28.9)

8

거짓 추천

20(26.3)

구분

다크패턴 유형

개수(비율)

8

클릭 피로감 유발

20(26.3)

10

거짓할인

15(19.7)

11

잘못된 계층구조

12(15.8)

12

속임수 질문

11(14.5)

12

취소/탈퇴 등의 방해

11(14.5)

14

위장 광고

10(13.2)

14

가격비교 방해

10(13.2)

16

반복간섭

6(7.9)

* ‘숨은갱신’, ‘순차공개 가격책정’, ‘몰래 장바구니 추가’ 유형은 확인되지 않음. 
 
소비자원은 위 3가지 유형은 소비자에게 심리적인 압박을 가해 특정 행위를 하거나 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압박형 다크패턴 유형이며 그 자체로는 소비자피해를 유발한다고 볼 수 없으나, 거짓 과장된 사실을 알리는 등 기만행위를 하면 관련법*에 따라 규제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원은 공정위가 19개 다크패턴 중에서 거짓 할인, 거짓 추천, 유인 판매, 위장 광고, 숨겨진 정보, 속임수 질문, 가격비교 방해, 숨은 갱신, 반복간섭, 순차공개 가격책정, 잘못된 계층구조, 특정옵션 사전선택, 취소·탈퇴 방해 등 13개 유형을 ‘소비자피해를 유발할 우려가 큰 유형’으로 제시한 바 있다며 조사 결과, 76개의 웹사이트 및 모바일앱에서 총 188개가 확인되어 평균 2.5개 유형이 사용되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위 13개 유형 중 가장 많은 유형은 ‘특정옵션 사전선택’(48.7%, 37개)이었고, 다음으로 ‘숨겨진 정보’(44.7%, 34개), ‘유인 판매’(28.9%, 22개), ‘거짓 추천’(26.3%, 20개) 순이었다고 밝혔다.
예를 들면 구독료가 높은 상품이 미리 선택되어 있거나(특정옵션 사전선택), 제품 구매 시 최소(또는 최대) 구매 수량이 있다는 표시를 하지 않아 구매과정에서 확인되는 경우(숨겨진 정보), 낮은 가격으로 유인했으나 실제 해당 제품이 없는 경우(유인 판매), 판매 상품이 아닌 다른 상품의 후기가 포함된 경우(거짓 추천) 등이다.
 

 

이 중 ‘특정옵션 사전선택’, ‘잘못된 계층구조’, ‘취소·탈퇴 방해, 반복간섭, 순차공개 가격책정, 숨은 갱신 등 6개 유형은 현행법으로 규율할 수 없어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률의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소비자원은 또 이번 조사에서는 하나의 화면에서 여러 유형의 다크패턴을 결합해서 사용하고 있는 점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멤버십 서비스 해지 과정에서는 ‘취소·탈퇴 등의 방해’, ‘감정적 언어사용’, 그리고 ‘잘못된 계층구조’ 유형까지 3개 유형이 결합된 형태가 있었고 책상을 광고하면서 상판 가격만 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할인율을 표시한 사례에서는 ‘거짓 할인’과 ‘숨겨진 정보’ 2개 유형을 결합하고 있었다고 안내했다.

 

 

한편, 다크패턴 사용 빈도는 모바일 앱이 평균 5.8개 유형으로 웹사이트(평균 5.4개)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며 이번 실태조사는 공정위 ‘온라인 다크패턴 자율관리 가이드라인’ 배포 전에 시작되었고 동 가이드라인이 배포됨에 따라 사업자들의 자발적인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들에게 ▲소비자가 거래조건을 쉽게 이해하고 선택할 수 있는 화면 구성 등 쇼핑몰 인터페이스의 중립적 설계, ▲「온라인 다크패턴 자율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른 상시 모니터링 등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소비자에게는 거래 과정에서 상품정보 표시내용, 결제 전 주의사항 등을 꼼꼼히 살핀 후 구매할 것을 당부했다. 

 

인터페이스 기준 다크패턴 유형별 사용 빈도

(단위: , %)

구분

다크패턴 유형

인터페이스 기준 빈도

비율

1

다른 소비자의 활동 알림

71

93.4

2

감정적 언어사용

66

86.8

3

시간제한 알림

57

75.0

4

특정옵션 사전선택

37

48.7

5

숨겨진 정보

34

44.7

6

낮은 재고 알림

27

35.5

7

유인 판매

22

28.9

8

거짓 추천

20

26.3

8

클릭 피로감 유발

20

26.3

10

거짓 할인

15

19.7

11

잘못된 계층구조

12

15.8

12

속임수 질문

11

14.5

12

취소/탈퇴 등의 방해

11

14.5

14

위장 광고

10

13.2

14

가격비교 방해

10

13.2

16

반복간섭

6

7.9

합 계

429

-

※ ‘숨은갱신’, ‘순차공개 가격책정’, ‘몰래 장바구니 추가’ 유형은 확인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