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식생활, 30~40대 비만 악화에 50대 이후는 만성질환
20대 식생활, 30~40대 비만 악화에 50대 이후는 만성질환
  • 윤지현 기자
  • 기사입력 2023.12.11 12:45
  • 최종수정 2023.12.11 12: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장년층의 건강 위험요인 관리 필요...그나마 신체활동은 개선
(출처) 게티이미지코리아
(출처) 게티이미지코리아

 

[헬스컨슈머] 뚱보 대한민국...우리나라 남성의 절반은 비만이다.

 

질병관리청(이하 질병청)은 12월 8일, ‘국민건강영양조사 제9기 1차년도(2022) 결과발표회’를 열고 우리 국민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 및 건강행태에 관한 2022년 통계를 발표했다.

 

흡연, 음주, 신체활동, 영양, 만성질환 등 250여 개 보건지표를 산출하는 대표적인 건강통계조사로, ’98년에 도입하여 매년 만 1세 이상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우리 국민의 건강과 영양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는 국가 건강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이번 발표된 통계자료에 따르면 성인(19세 이상)의 비만,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2021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구분

남자

여자

19-29

30-39

40-49

50-59

60-69

70+

19-29

30-39

40-49

50-59

60-69

70+

비만 유병률1)

’13년

29.3

47.1

41.5

40.8

29.3

26.2

14.4

17.9

25.7

33.7

42.7

38.6

’22년

42.8

55.7

53.6

49.7

36.8

29.8

18.2

21.8

27.2

28.6

35.4

38.8

’22-’13 차이

13.5

8.6

12.1

8.9

7.5

3.6

3.8

3.9

1.5

5.1

7.3

0.2

고혈압 유병률2)

’13년

6.7

15.8

28.5

41.3

48.5

59.0

1.3*

3.7

10.7

30.6

48.8

64.3

’22년

6.7

13.1

28.7

41.6

53.6

64.1

1.7**

3.9*

11.2

25.2

44.5

71.9

’22-’13 차이

0.0

2.7

0.2

0.3

5.1

5.1

0.4

0.2

0.5

5.4

4.3

7.6

당뇨병 유병률3)

’13년

1.9*

3.9*

11.4

20.0

33.6

27.1

1.4*

1.4*

5.2

11.5

28.7

40.4

’22년

2.8*

3.1*

8.9

24.1

25.1

27.8

0.2**

2.9*

3.3*

11.1

16.3

30.6

’22-’13 차이

0.9

0.8

2.5

4.1

8.5

0.7

1.2

1.5

1.9

0.4

12.4

9.8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4)

’13년

4.9*

11.9

12.1

13.5

18.8

16.8

1.7*

4.9

8.0

26.8

34.5

29.0

’22년

7.8*

12.7

27.9

31.4

31.5

32.6

6.1*

10.4

17.9

39.1

53.0

55.3

’22-’13 차이

2.9

0.8

15.8

17.9

12.7

15.8

4.4

5.5

9.9

12.3

18.5

26.3

<최근 10년 간 성‧연령별 만성질환 변화(%, 19세이상, 2013, 2022)>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25-50%, ** 50%이상

1) 비만: 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인 분율

2) 고혈압: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 또는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는 분율, ’21년 진동형혈압계로 변경되어 추이 비교시 주의 필요

3) 당뇨병: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거나, 당화혈색소 6.5% 이상인 분율, ’22년 임상검사분석기관 변경으로 추이 비교시 주의 필요

4) 고콜레스테롤혈증: 8시간이상 공복자 중 혈중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이거나 콜레스테롤강하제를 복용하는 분율

 

비만 유병률은 2022년 남자 47.7%, 여자 25.7%로 2021년 대비 남자는 1.4%p 증가하였고, 남자 30~50대 절반이 비만이었으며 여자는 같은 기간 1.2%p 감소했지만 20대에서는 되레 증가 15.9%에서 18.2%로 2.3%p 증가했다.

 

고혈압 유병률은 2022년 남자 26.9%, 여자 17.0%로 2021년 대비 남자는 1.7%p 증가했고, 특히 남자 50대에서는 이 기간동안 35.8%에서 41.6%로 5.8%p의 큰 폭 증가세를 보였으며, 여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유병률은 2022년 남자 11.2%, 여자 6.9%이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2022년 남자 20.9%, 여자 22.6%이며, 2021년 대비 남자는 큰 변가 없었으나 여자는 2.3%p 증가했다.

 

최근 10년 간 만성질환 변화를 살펴보면, 비만은 남자 20~50대에서 10%p 정도 증가하여, 30~50대 2명 중 1명이 비만이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남녀 40대 이상에서 10%p 이상 늘었다.

 

흡연율은 ’21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음주율은 다시 증가하였고, 신체활동 실천율의 경우 남녀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담배제품을 하나라도 사용한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2022년 남자 36.6%, 여자 7.2%로 2021년 대비 남자는 변화가 없으나 여자는 감소(↓1.3%p)하였다.

 

현재 흡연율(일반담배(궐련))은 2022년 남자 30.0%, 여자 5.0%로 2021년 대비 감소(남 ↓1.3%p, 여 ↓1.9%p)하였으나, 액상형 전자담배 현재 사용률은 남자 5.6%, 여자 1.3%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남 ↑0.6%p, 여 ↑0.1%p)하였고, 궐련형 전자담배도 남자 9.2%, 여자 2.4%로 전년 대비 증가(남 ↑1.9%p, 여 ↑0.7%p)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10년 간 성‧연령별 건강행태 변화(%, 19세이상, 2013, 2022)>

구분

남자

여자

19-29

30-39

40-49

50-59

60-69

70+

19-29

30-39

40-49

50-59

60-69

70+

현재

흡연율1)

’13년

37.0

54.5

48.0

40.8

32.5

15.6

9.1

6.9

6.2

3.7

4.0*

3.1*

’22년

30.6

26.5

36.6

32.5

28.2

16.2

5.8

6.8

3.8

6.1

3.5

0.6**

’22-’13 차이

6.4

28.0

11.4

8.3

4.3

0.6

3.3

0.1

2.4

2.4

0.5

2.5

고위험 음주율2)

’13년

18.7

23.7

25.9

20.3

8.9

4.3*

8.8

7.6

4.4

4.2*

0.8*

0.0

’22년

15.9

20.0

28.9

27.2

19.6

9.5

8.8

9.3

7.1

7.0

1.9*

0.8*

’22-’13 차이

2.8

3.7

3.0

6.9

10.7

5.2

0.0

1.7

2.7

2.8

1.1

0.8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3)*

’14년

79.8

58.2

57.5

60.2

53.7

48.2

64.1

57.8

56.9

52.6

42.7

29.1

’22년

70.5

59.6

48.9

53.5

42.9

35.2

67.6

50.5

50.7

45.9

38.3

24.4

’22-’14 차이

9.3

1.4

8.6

6.7

10.8

13.0

3.5

7.3

6.2

6.7

4.4

4.7

우울장애 유병률4)*

’14년

4.9*

6.1

2.1*

4.4*

3.6*

3.7*

11.9

6.7

5.5

7.6

10.5

16.4

’22년

5.2*

3.4*

4.3*

4.0*

3.6*

1.1*

7.9

8.1

4.8

3.9

3.2*

6.7

’22-’14 차이

0.3

2.7

2.2

0.4

0.0

2.6

4.0

1.4

0.7

3.7

7.3

9.7

* 2014년부터 신규 조사항목으로 추가되어 ’14년 결과와 비교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25-50%, ** 50%이상

1) 현재흡연율: 평생 일반담배(궐련) 5갑(100개비) 이상 피웠고 현재 일반담배(궐련)를 피우는 분율,

2) 고위험음주율: 1회 평균 음주량이 7잔 이상(여자 5잔)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분율

3)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또는 중강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을 섞어서(고강도 1분은 중강도 2분) 각 활동에 상당하는 시간을 실천한 분율

4) 우울장애 유병률: 우울증선별도구(PHQ-9) 총점 27점 중 10점 이상인 분율

 

고위험음주율은 2022년 남자 21.3%, 여자 7.0%로, 2021년 대비 남자는 증가(↑1.6%p)하였고, 월간폭음률도 남자 48.8%, 여자 25.9%로, 전년 대비 남녀 모두 증가(남 ↑1.8%p, 여 ↑1.8%p)했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2022년 남자 55.4%, 여자 50.7%로 2021년 대비 남녀 모두 큰 폭으로 증가(남 ↑5.2%p, 여 ↑5.3%p)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의하면 최근 10년 간 건강행태 변화를 살펴볼 때 남녀 모두 음주와 신체활동은 개선되지 않았다.

특히 남자 40대와 여자 30대의 경우 현재흡연율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고위험음주율과 우울장애 유병률은 증가하고 신체활동 실천율은 감소하여 건강행태가 모두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아침 식사 결식률과 지방 에너지 섭취분율은 2021년 대비 다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침 식사 결식률은 2022년 남자 35.2%, 여자 32.8%로 2021년 대비 남자가 여자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남 ↑3.8%p, 여 ↑0.8%p)하였고 20대에서 가장 높았다.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2019년 이후 감소 경향이었으나, 2022년 남자 33.4%, 여자 21.9%로 2021년 대비 증가(남 ↑2.0%p, 여 ↑2.5%p)하였다.

 

대부분 식품군 섭취량은 2021년 대비 큰 변화가 없으나, 남녀 모두 2021년 대비 곡류 섭취량이 감소(남 ↓13.3g, 여 ↓8.2g)하고 음료류 섭취량이 증가(남 ↑36.7g, 여 ↑45.5g)했다.

 

<최근 10년 간 성‧연령별 식생활 및 영양 변화(%, 19세이상, 2013, 2022)>

구분

남자

여자

19-29

30-39

40-49

50-59

60-69

70+

19-29

30-39

40-49

50-59

60-69

70+

아침식사 결식률1)

’13년

43.2

35.4

26.6

14.4

7.8

3.2*

36.6

26.8

22.2

15.0

6.6

7.6

’22년

55.4

53.4

44.1

24.7

10.9

3.7*

63.3

43.1

28.3

23.6

10.3

5.9

’22-’13 차이

12.2

18.0

17.5

10.3

3.1

0.5

26.7

16.3

6.1

8.6

3.7

1.7

지방 에너지 섭취 분율2)

’13년

25.3

23.6

20.6

17.8

15.7

13.1

25.0

22.3

19.9

17.0

13.6

10.5

’22년

28.1

27.4

25.3

23.2

20.9

18.3

30.1

27.8

26.5

23.3

20.6

17.4

’22-’13 차이

2.8

3.8

4.7

5.4

5.2

5.2

5.1

5.5

6.6

6.3

7.0

6.9

과일 및 채소 500g 이상 섭취자 분율3)

’13년

28.4

43.0

43.9

48.8

44.8

42.9

28.0

35.3

41.6

52.3

43.8

26.6

’22년

11.9

21.1

26.7

36.4

49.9

48.3

6.5

15.5

25.0

35.7

42.8

37.5

’22-’13 차이

16.5

21.9

17.2

12.4

5.1

5.4

21.5

19.8

16.6

16.6

1.0

10.9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25-50%, ** 50%이상

1) 아침식사 결식률: 조사 1일 전 아침식사를 결식한 분율(’13년), 조사 2일 전 아침식사를 결식한 분율(’22년)

2) 지방 에너지섭취 분율: {(단백질 섭취량)×4+(지방 섭취량)×9+(탄수화물 섭취량)×4}에 대한 {(지방 섭취량)×9} 분율

3) 과일류 및 채소류 섭취량 합계가 1일 500g 이상인 분율

 

에너지 섭취량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고, 지방을 통한 에너지 섭취 분율은 증가(남 ↑1.1%p, 여 ↑1.4%p)한 반면, 탄수화물을 통한 에너지 섭취 분율은 감소(남 ↓0.9%p, 여 ↓1.6%p)했다.

 

최근 10년간 영양수준 변화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아침식사 결식률 및 지방 에너지 섭취 분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20대는 2명 중 1명이 아침식사를 결식하고 총 에너지의 약 30%를 지방으로 섭취하며, 10명 중 1명만이 과일 및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 지영미 청장은 “’22년은 코로나19 유행 3년 차를 지낸 시기로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전환되면서 우리 국민의 건강수준에도 변화가 있었다”며 “2022년 결과, 신체활동은 2020년 이후 지속 증가하여 개선되었으나 음주 행태는 다시 증가 경향으로 바뀌었고,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등 만성질환은 여전히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20대 식생활, 30~40대 비만 및 건강행태 악화, 50대 이상에서 만성질환이 지속 증가하여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청장년층의 건강 위험요인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지 청장은 아울러 “오늘 발표회 기조강연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활용 및 조사체계 발전방향’에 대한 발표가 있는데, 앞으로도 질병청은 고령화에 대비한 골밀도 검사 추가와 타 기관 자료 연계를 확대하고 동일 대상자의 건강수준 변화를 파악하는 추적조사체계 운영 등 국가건강조사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