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5년 상대생존율 72.1%, 10년새 6.6%p↑
암환자 5년 상대생존율 72.1%, 10년새 6.6%p↑
  • 박채은 기자
  • 기사입력 2023.12.29 13:31
  • 최종수정 2023.12.29 13: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갑상선암 가장 많이 발생, 다음으로 대장암, 폐암, 위암 순
(출처) 게티이미지코리아
(출처) 게티이미지코리아

 

[헬스컨슈머]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수집된 우리나라 2021년 국가암등록통계를 12월 29일 발표했다.

 

복지부는 국가암등록통계의 경우 ‘암관리법’ 제14조에 근거하여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바탕으로 암환자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매년 2년 전 기준으로 암 발생률, 상대생존율, 유병률을 산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신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7만 7,523명(남 14만 3,723명, 여 13만 3,800명)으로 2020년 대비 27,002명(10.8%) 증가했다.

 

전년 대비 암환자 수는 남자 11,792명(8.9%), 여자 15,210명(12.8%) 증가하였으며, 2020년 코로나19 발생의 영향으로 감소하였던 신규 암 환자 수가 2021년에 다시 증가했는데 연도별로는 2018년 24만 7,251명, 2019년 25만 8,121명, 2020년 25만 521명, 2021년 27만 7,523명이었다.

 

2021년 암 발생자 수 증가 요인으로는 코로나19로 감소했던 의료이용 회복에 따른 암발생자 수 증가와 국가암검진 수검률이 2020년 49.2%에서 2021년 55.1% 증가한 것을 꼽았다.

 

국가암검진 수검률은 국가 암검진사업에 포함된 6대 암종별(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검진대상자 중 국가암검진 사업을 통하여 암 검진을 받은 암종별 수검자의 백분율을 말한다.


또한 개정된 종양학국제질병분류(ICD-O-3) 반영하여 기존에 암으로 분류되지 않았던 대장암, 위암 양성종양 일부*가 암등록되면서 신경내분비 종양 2020년 1,829명, 2021년 4,245명, 위장관 기질 종양 2020년 747명, 2021년 1,586명으로 각각 증가된 점도 함께 꼽았다.

 

이 통계는 전체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발생률’이라 한다)은 526.7명으로 전년 대비 38.8명(8.0%)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다.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2018년 509.3명, 2019년 517.0명, 2020년 487.9명, 2021년 526.7명이었다.

 

이 중 성별 암 발생률은 전년 대비 남자 27.2명, 여자 49.3명 증가했고 남자 암 발생률의 경우 2018년 608.6명, 2019년 609.8명, 2020년 569.6명, 2021년 596.7명이었으며 여자 암 발생률은 2018년 449.6명, 2019년 462.1명, 2020년 440.2명, 2021년 489.5명이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3.6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8.1%이며, 남자(기대수명 80.6세)는 5명 중 2명(39.1%), 여자(기대수명 86.6세)는 3명 중 1명(36.0%)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고 보고했다.

 

2021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이어서 대장암, 폐암, 위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 순이었으며 남자 암 발생 순위는 폐암 – 위암 – 대장암 – 전립선암 – 간암 – 갑상선암의 순, 여자 암 발생 순위는 유방암 – 갑상선암 – 대장암 – 폐암 – 위암 - 췌장암 순이었다.

 

아울러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인 6대암(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의 장기적 발생 추세를 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모든 암종에서 암 발생이 감소한 2020년을 제외하고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10여 년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폐암은 유의미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방암의 발생률은 최근 20년간 증가 추세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구분

대장

자궁경부

유방

 

전립선

갑상선

’10

84.4

74.6

44.3

9.5

62.9

33.2

24.3

79.8

’12

79.9

76.6

41.2

8.3

61.5

36.8

25.9

94.3

’15

67.9

63.3

36.7

7.7

59.1

40.2

25.0

51.4

’18

61.4

59.2

33.1

7.1

61.2

47.4

31.9

57.0

’19

60.0

59.6

31.8

6.5

61.6

49.4

34.6

60.8

’20

52.3

55.1

29.8

5.9

56.9

48.8

33.0

57.7

’21

55.3

61.9

28.5

6.1

59.3

55.7

 

35.0

68.6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9.3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00.9명), 미국(362.2명), 캐나다(348.0명), 프랑스(341.9명), 이탈리아(292.6명)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최근 5년(’17~’21)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생존율’이라 한다)은 72.1%로, 암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5년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약 10년 전(’06~’10)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65.5%)과 비교할 때 6.6%p 높아졌다.

 

성별 5년 생존율은 여자(78.2%)가 남자(66.1%)보다 높았는데, 이는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 유방암이 여자에게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갑상선암(100.1%), 전립선암(96.0%), 유방암(93.8%)이 암종 중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간암(39.3%), 폐암(38.5%), 담낭 및 기타 담도암(28.9%), 췌장암(15.9%)은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약 10년 전(’06~’10) 대비 생존율이 10%p 이상 상승한 암종은 폐암(18.2%p 증가), 다발성 골수종(15.1%p 증가), 식도암(12.8%p 증가), 간암(11.0%p 증가)이었다.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에 대해 국제 비교해 보면, 5년 순 생존율은 미국, 영국 등에 비해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다.

 

< 주요 암의 5년 순 생존율 국제 비교(’10-’14) >

구분(%)

대장

유방

자궁경부

결장

직장

한국

68.9%

71.8%

71.1%

27.2%

25.1%

86.6%

77.3%

미국

33.1%

64.9%

64.1%

17.4%

21.2%

90.2%

62.6%

영국

20.7%

60.0%

62.5%

13.0%

13.3%

85.6%

63.8%

일본

60.3%

67.8%

64.8%

30.1%

32.9%

89.4%

71.4%

2021년 암 유병자(1999년 이후 암확진을 받아 2022년 1월 1일 기준,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사람)는 약 243만 4,089명으로, 전년(227만 6,792명) 대비 15만 7,297명 증가했는데 이는 국민 21명당 1명(전체인구 대비 4.7%)이 암유병자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특히 남자 24명당 1명(전체인구 대비 4.2%), 여자 19명당 1명(전체인구 대비 5.3%)이 암 유병자였다.

 

또 암 진단 후 5년 초과 생존한 암환자는 전체 암유병자의 절반 이상(60.8%)인 147만 9,536명으로 전년(136만 8,140명) 대비 11만 1,396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에서는 7명당 1명이 암유병자였으며, 남자는 6명당 1명, 여자는 9명당 1명이 암유병자였거 65세 이상 암유병자는 119만 4,156명으로, 65세 이상 전체 인구(857만 7,830명)의 13.9%에 해당(남자 17.2%, 여자 11.4%)였다.

 

갑상선암의 유병자 수가 전체의 21.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위암(14.1%), 대장암(12.7%), 유방암(12.5%), 전립선암(5.5%), 폐암(5.0%) 순이었고 암유병자 수를 성별로 살펴봤을 때는, 남자는 위암, 대장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폐암 순이며, 여자는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자궁경부암 순이었다.

 

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코로나19 시기 암 진단 지연으로 인한 생존율의 유의미한 감소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며, 향후 감염병이 유행하더라도 조기 검진을 포함한 전 주기적 암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서홍관 원장은 “5년 상대생존율이 100.1%인 갑상선암이 3년 연속 발생 1위가 된 것은 갑상선암검진이 활성화 되어 있다는 것”이라며, “무증상인 국민들이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하는 것보다 국가암검진 대상인 6개 암종의 검사를 받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