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차 K-바이오헬스포럼 : 3자 발제문] 의학·영양적 측면에서 의료용식품 중요…국외 사례 참고해 우리 사정에 맞는 제도 확립해야
[8차 K-바이오헬스포럼 : 3자 발제문] 의학·영양적 측면에서 의료용식품 중요…국외 사례 참고해 우리 사정에 맞는 제도 확립해야
  • 헬스컨슈머 특별취재단
  • 기사입력 2022.06.16 16:44
  • 최종수정 2022.06.16 1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양 불량 환자, 재원 기간 늘어나…영양 공급은 중요한 문제

-환자 상태 모니터링하는 전문가 역할 필요

-규제 및 규제 완화, 국가 상황에 맞게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헬스컨슈머] 14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제8차 K-바이오헬스포럼이 ‘의료용식품 제도의 필요성’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이날 발제자로 홍석경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와 이호선 세브란스병원 영양팀장, 임효정 성균관대학교 의학연구소 연구원이 참여했다.

 

■ 영양 불량 환자, 재원 기간 늘어나…영양 공급은 중요한 문제

홍석경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사진촬영) : 헬스컨슈머 특별취재단
(사진설명) : 홍석경 교수 / 헬스컨슈머 특별취재단 촬영

홍석경 교수는 2014년도 한국정맥영양학회에서 25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환자들의 영양불량률을 언급했다. 입원 당시 영양 상태가 양호했던 환자가 78% 수준인데, 입원 후에는 항암 치료 등을 받으며 오히려 영양 상태가 악화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의료진들이 현장에서 보는 영양 불량 환자는 이보다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아무 문제가 없을 경우 입원 환자의 재원 기간은 보통 일주일 정도 된다. 그러나 영양 상태가 불량할 경우 5일 정도 늦게 퇴원하거나, 나중에 다시 재입원하게 된다. 이러한 영양 문제는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 국가적인 차원으로도 의료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영양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을 때, 우리나라 의료진들은 홍 교수의 설명에 의하면 “일단 주사부터 놓고 본다”. 환자도 이러한 전개에 익숙하다. 이처럼 우리나라가 정맥영양 위주가 된 건 이원화되어 관리되는 제도 탓이다. 유명한 경장영양제제 회사가 10년 전 우리나라 시장에서 철수를 했을 만큼, 국내 상황은 매우 열악하다.

예컨대 유럽의 경장영약학회는 질병에 따른 임상 진료 지침들을 내고 있다. 환자의 질병에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 영양 공급을 하고, 경장영양제제는 어떤 역할을 하고 등의 내용이다. 우리나라 역시 이처럼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경장영양식품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수가를 현실화하고, 이원화된 제도를 통합하고, 체계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 환자 상태 모니터링하는 전문가 역할 필요

이호선 세브란스병원 영양팀장

(사진촬영) : 헬스컨슈머 특별취재단
(사진설명) : 이호선 팀장 / 헬스컨슈머 특별취재단 촬영

영양불량으로 인한 유병률은 1980년대부터 보고되어 왔다. 병원 환자의 영양불량률은 30~50% 수준이며, 장기쇼양시설의 경우 60%까지도 치솟는다. 외래 환자와 가정 간호 역시 30%에 이른다. 특히 미국에서 검사한 자료를 보면 노인 환자나 만성질환환자의 영양불량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영양불량위험은 환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위험이 크다. 실제로 미국이나 유럽에서 그 규모를 분석한 결과, 영양불량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재입원 확률이 1.6배 높게 나오기도 했다. 이는 분명 주지해야 할 사실이다.

그렇다면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발을 못 먹는 이유는 뭘까. 삼킴의 어려움, 식욕 저하 등 때문이다. 이런 식사들에게 식사를 조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때 가장 먼저 고려되는 게 장관영양이다. 정맥영양은 그 다음이다. 이처럼 제품을 활용해 섭취량이 개선되고, 음식 섭취가 발해를 받지 않으면 재입원율이 감소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전문가의 역할이 필요하다. 체계적 관리가 없을 경우 환자가 의료진이 권유하는 것보다 두 배 이상의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다. 이처럼 전문가가 환자의 특성에 맞게 정확히 목표를 잡아주고, 또 환자의 상태가 변함에 따라 적정량을 조절해줘야 한다.

 

 

■ 규제 및 규제 완화, 국가 상황에 맞게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임효정 성균관대학교 의학연구소 연구원

(사진촬영) : 헬스컨슈머 특별취재단
(사진설명) : 임효정 연구원 / 헬스컨슈머 특별취재단 촬영

의료용 식품은 일반적인 식사로 영양 요구량을 충족할 수 없는 환자에게 사용되는 것을 일컫는다. 적절한 품목 관리가 필요한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환자에게 적합한지 엄격하게 제조 관리를 해야 하며, 과학적 근거가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건강한 성인들은 식사대용식이 반드시 필요한 게 아니지만, 환자에게는 없어선 안 되기 때문이다.

특히 암 환자의 경우 아무리 먹어도 영양 요구량의 절반밖에 채워지지 않는다. 반드시 환자에게 맞는 다양한 제품이 필요하고, 유일한 영양 공급원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의료 전문가의 감독 하에 사용돼야 한다. 지속적으로 면밀한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환자가 있을 시, 감독이 이뤄져야 한다.

국내의 의료용식품은 현재 특수의료용도등식품으로 관리되고 있다. 대부분의 산업체가 자체적으로 높은 안전 및 품질 기준을 갖춰 생산하지만, 일부 적절하지 못한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기도 한다. 유럽의 경우, 국가가 구체적인 대상 질병 및 영양기준을 제시하지 않음으로 다양하고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장려한다. 또한 의료용 식품 관리체계 강화 움직임을 보이는데,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마찬가지다.

일본에서는 의약품과 식품으로 구분되어 관리되고 있다. 별도의 표시 허가를 통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으나, 글로벌 표준과는 상이한 일본만의 독자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시중에 출시된 180개가량의 제품 중 소수만 제도권에 들어와있기 때문에 잘 관리되는지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의료용 식품 제도는 일반 식품과는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규제와 규제완화가 각 국가별 상황에 맞게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치료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환자를 위해 적절한 의료보험 적용이 필요하다. 국외 사례를 참고해 제외국에서 경험한 혼란을 최소화한 제도 구축이 필요하다.